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드론을 활용한 ‘드론 갯벌 안전관리 사업’을 통해 2025년 5월 28일 영흥도 영흥면 길마섬(하늘고래 전망대) 앞 갯벌에서 고립된 2명을 구조했다.
구조상황
앞서 5월 14일에는 하나개 해수욕장에서 드론 순찰 중 고립자 2명을 구조한 바 있어, 안전관리를 위한 드론 순찰의 효과성을 다시 한번 입증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드론 순찰이 고립된 인원을 신속하게 발견하고 빠른 구조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인천시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항공안전기술원이 시행하는‘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1억 2천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로 야간 해루질 이용객의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인천해양경찰과 협업을 통해 운영되고 있으며, 2023년부터 시범적으로 추진된 이후 2024년에는 ‘인천형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으로 선정돼 본격화됐다.
사업 추진 이후 지금까지 총 6,276명을 안전조치 했으며, 사업 수행 중 단 한 건의 인명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2025년에는 국토부의 드론 실증도시 사업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지속적으로 드론 갯벌 안전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이번 드론 안전관리 사업을 통해 해양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지역 주민과 관광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 특히, 드론의 활용은 야간 활동이 많은 해루질 이용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드론을 활용한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인천시는 2025년 ‘국토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을 통해 갯벌 안전관리 외에도 말라리아 드론 방역, 덕적도 드론 배송, 생활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인천형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을 통해 대기환경·악취 측정, 교량 안전점검 체계 구축, 하천시설의 체계적 관리 등 다양한 드론 기술을 활용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우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드론을 활용한 맞춤형 사업을 통해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겠다”라며 “드론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인천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