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R&D지원’이 창업‧벤처 중소기업의 매출 증대, 일자리 창출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서울형 R&D 사업에 참여한 총 1,381개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매출은 5,043억원 올랐고, 4,457명의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년 한해에만 기술사업화 지원을 받은 6개 기업이 코스닥 상장에 성공하는 등 ‘기업성장의 마중물’ 이 되고 있다.
서울형R&D성과 공유회
서울형R&D사업은 미래 유망산업을 키우고, 기업에 대한 투자의 일환으로 2005년부터 서울시가 꾸준하게 추진 투자하고 있는 사업이다.
5년간 ’18년 209개→’19년 264개→’20년 351개→’21년 282개→’22년 275개 등 총 1,381개의 기술사업화(R&D) 를 지원했다.
서울핀테크랩 (여의도)
서울시는 올해 총 36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혁신기술 발굴, 기술개발, 실증, 시장진출 등의 전 과정을 지원에 나선다. 서울의 경제성장을 견인할 창조, 양자, 첨단제조 등 신성장 산업에 대한 ‘핀셋 지원’을 강화하고, ‘누구나 약자가 될 수 있으므로 약자를 위한 투자는 모든 시민을 위한 투자’라는 서울시 철학을 바탕으로 약자를 위한 기술 투자도 확대한다.
상지재활로봇 사진(주)맨엔텔
구체적으로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신성장산업(바이오‧의료, AI, 로봇, 핀테크, 창조산업, 첨단제조, 양자) 기술사업화(183억원) ▲기술 상용화를 위한 혁신제품․서비스 실증(90억원) ▲혁신기술 보유 초기 기술기업 발굴․지원(18억원)에 R&D 예산이 집중 투입된다.
올해부터, 성장궤도에 오른 기업의 고속성장을 지원하는 ‘중‧장기 R&D’ 지원체계를 도입한다. 1년 단위로 지원이 결정되어, 장기적인 투자가 어려웠던 R&D 예산을 최대 4년간 지원하고, 기업당 최대 2억을 넘기 어려웠던 예산도 최대 8억까지 상향한다.
그동안 서울형 R&D는 단기간(1년), 소액(2억원)의 R&D 지원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올해부터는 우수과제를 선정하여 4년간 최대 8억원을 지원하도록 구조를 개편하였다.
올해 선정된 신성장산업 기술사업화 R&D 과제 중 우수과제(30% 이내)를 선별하여 글로벌 진출 및 기술특례 상장을 위해 최대 2억원의 추가 R&D를 지원한다. 또한, 서울형 민간투자연계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선정될 경우 2년간 4억원이 추가 지원된다.
‘중소기업‧스타트업-대‧중견기업’을 매칭해 서울형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사장되지 않고, 기술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네이버클라우드, 비바리퍼블리카 등과 연계해 ‘테크파트너스’를 구성한다. 예컨대, 서울형R&D 지원기업의 연구개발 성과물을 ‘테크파트너스’ 참여 기업이 도입할 수 있도록 협업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매칭하는 방식이다.
네이버클라우드, 비바리퍼블리카가 참여를 확정하였고,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SK텔레콤, LG사이언스파크, 현대건설, 호반그룹이 참여할 예정이다.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서울시도 기술을 통한 미래성장동력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바이오‧의료, 인공지능, 로봇 등 서울시 ‘산업 클러스터’ 중심 기술사업화 지원 뿐만 아니라 창조산업, 첨단제조, 양자 기술사업화까지 지원범위를 확대해 총 183억원을 투입한다.
산업분야 | 예산 | 주요내용 | |
① | 바이오‧의료 | 60억 |